apache ssl enable problem

아파치에 ssl 설정을 하고 https 접속을 하려는데 다음의 오류가 나왔다.

Secure Connection Failed

An error occurred during a connection to pchero21.com. SSL received a record that exceeded the maximum permissible length. (Error code: ssl_error_rx_record_too_long)

The page you are trying to view cannot be shown because the authenticity of the received data could not be verified.
Please contact the website owners to inform them of this problem.

구글링을 해봐도 ssl 모듈을 활성화 시키라는 이야기만 나오고…. 단지 설정값을 이리저리 바꿔보고 테스트하는 삽질만 하고 있었다.

 

그러다가, 짚히는 부분이 있어서, ssl 인증서를 다시 만들고 테스트를 해봤더니 잘 되었다.

처음 SSL 인증서를 만들 때, 다음의 명령어를 사용했었다.

sudo openssl req -x509 -nodes -days 3650 -newkey rsa:2048 -keyout ./postfix.key -out ./postfix.crt

문제가 되었던 부분은 rsa:2048 부분이었다.

다음의 명령어로 다시 ssl 인증서를 만들고 설정하니 잘 되었다.

sudo openssl req -x509 -nodes -days 3650 -newkey rsa:1024 -keyout ./postfix.key -out ./postfix.crt

WordPress Error – Fatal error: Cannot redeclare class Facebook in /wp-content/plugins/simple-facebook-connect/facebook-platform/facebook.php

워드 프레스를 사용하던 중 아래와 같은 에러를 발견하였다.

WordPress Error – Fatal error: Cannot redeclare class Facebook in /wp-content/plugins/simple-facebook-connect/facebook-platform/facebook.php

관리자 계정으로 로그인 하여 글을 수정 하려고 했는데 위와 같은 에러가 발생하면서 로그인이 안되는 현상이었다.

에러 메시지의 원인은 메시지 내용에 나타나있었다. Facebook 관련된 플러그인에서 오류가 발생하여 로그인을 할 수 없다는 내용이다. 오류가 발생한 이유는 중복 선언.

구글링 후 해결방법을 찾을 수 있었다. 내용인즉, 설치된 두개 이상의 페이스북 플러그인이 서로 작동하면서 충돌이 일어난 것이란다.

웹서버에 ssh 접속후, 에러가 발생한 플러그인 디렉토리를 다른 이름으로 변경 후, 다시 접속을 하니 정상적으로 로그인이 되었다.

로그인 후, 문제가 발생한 플러그인을 삭제하여 문제를 해결하였다. 🙂

아파치 2.2.x 버전에서 UserDir 모듈 사용하기.

 아파치 1.x.x 에서의 UserDir 기능의 사용을 위해서는 단순히

 UserDir public_html

 이라는 지시어만 입력하면 된다.

 하지만 2.2.x 버전의 경우 모든 기능이 모듈화되어 각각의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모듈을 추가/제거 를 해야 한다.

 UserDir 모듈의 자세한 사용은

http://httpd.apache.org/docs/2.3/en/mod/mod_userdir.html

 아파치 홈페이지에 나와있다.

 /etc/apache2/mods-enabled 디렉토리에 /etc/apache2/mods-available 디렉토리에 있는 모듈과 설정파일에 대한 링크 혹은 복사를 하기만 하면 모듈의 설치가 끝이난다.

 그리고 UserDir.conf 설정파일의 간단한 설정 수정만 하면 UserDir 모듈의 사용을 위한 모든 준비는 끝이난다.

[webalizer] 한글깨짐 문제시 참고 글

원래 webalizer는 미약하기는 하나 오래전부터 한글을 잘 지원하던 프로그램이었던 것으로 기억한다.

그러나 오늘 서버에 apt-get install webalizer로 설치하고 깜짝 놀랐다.
영어로 나왔다고 해도 패키징이 나쁘구나..라고 생각하는데.. 어절시구리? 한글이 다 깨져보인다. 웹브라우저의 텍스트 인코딩 옵션을 이리저리 바꿔도 깨지는 건 마찬가지다.

제나 그렇듯히 구글사마의 힘을 빌었으나 데비안 유저 그룹에서 그 문제로 webalizer를 다시 패키징 했다는 양반만 있을 뿐,

별 반 답이 없었다. 다시 컴파일 하란 말인가? 데비안 쓴지 얼마 되지 않아.. 그런걸 모르는데다가…..

결국 눈물을 머금고 소스를 받아 .configure해보니… 이게 왠일..png라이브러리가 없다고 한다 – dpkg로 보니 깔려 있긴 깔려 있는데… 먼가 빠진게 있는 모양…

래도 포기할 소냐.. 여기 저기 뒤져보니깐 이런 점을 알 수 있었다. webalizer는 C인지 perl인지의 코드를 컴파일해서

생성이 되는 프로그램이고, 예전에 1.0 버전때는 있었던거 같은데 2.0에서는 언어 설정을 할 수 있는 내용이 설정파일에도

없고.. 엄청 난감한 사태에 빠져들었다.

이 상황에서 눈여겨 본것은 webalizer가 실행을 시작할 때 시스템의

로케일을 불러온다는 생각이 드는 것이다. 그리고 html을 만들어 낼 때 webalizer가 한국어라고 인식하면 euc-kr로

만들어 내는 것 같다고 생각이 드는 거다.(우분투와 쿠분투는 utf-8디펄트고, 나는 utf-8을 쓰고 있다.)

그래서 이렇게 해봤다.

#LANG=”POSIX” webalizer

결과는.. 모든 메시지가 영문으로 빠지고.. url에 한글이 있는 부분들도 잘 표시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ubuntu패키지에서 webalizer패키지엔 cron 스크립트도 함께 있다. 앞으로 그넘이 자동으로 돌아가게 하려면 그쪽도 수정해 줄 필요가 있다.

/etc/cron.daily/webalizer에서 해당 부분을 찾아서 아래와 같이 수정한다.

# Run webalizer quietly
LANG=”POSIX” ${WEBALIZER_BIN} -c ${WEBALIZER_CONF} -q
LANG=”POSIX” ${WEBALIZER_BIN} -c ${WEBALIZER_CONF} -q ${nonrotatedlog}

EUC-KR을 사용하지 않는 웹서버라면.. 한번쯤 꼭 참고하면 좋을 것 같다.

나의 Debian-Linux system에서 Webalizer 설치시 한글 깨짐 현상이 발생하였다.

위의 글처럼 /etc/cron.daily/webalizer 파일을 수정 후 다시 시작해 보았다.

하지만…실패!

-c 옵션을 알아듣지 못하는 듯 하였다. 결국 -c 옵션 이후 부분을 주석 처리 후 실행했다.

 결과는 성공.

 단순히 /etc/cron.daily/webalizer 파일에 LANG=”POSIX” ${WEBALIZER_BIN}

 만 추가해도 되는 듯 하다.

==========================================================

 여기까지가 내가 포스팅한 내용이다. 하지만 위의 내용은 잘못된 부분이 많다. 아래의 글에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 나와있다.

 데비안에서 webalizer의 한글 깨짐 현상을 경험하여 검색을 해 보니 무척 오래 된 문제네요.

시스템이나 아파치의 인코딩이 문제다 라던데… 아닙니다.

euc-kr, utf-8의 각각의 데비안에서 일괄적으로 깨집니다. -_-+

 그래서, 데비안 페키지안의 webalizer.mo를 msgunfmt 해서 살펴보니, 문구 카탈로그 파일의 한글 인코딩은 CP949로 되어있는데 헤더(Content-Type)에는 ISO-8859-1으로 되어있는게 원인이었습니다.

bugreport를 통해 데비안 버그 리스트에 등록해 두었습니다.

급하신 분은 다음과 같이 적용하세요.

webalizer.zip을 압축풀어 아래의 위치에 덮어 씁니다.

/usr/share/locale/ko/LC_MESSAGES/webalizer.mo

webalizer를 실행해 보면 문구들이 한글로 잘 나오는게 보입니다.

 출처: http://web.suapapa.net:8080/wordpress/?p=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