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ing digital – Nicholas Negroponte

이 책에 대한 이야기를 하기 보다 어떻게 이 책을 읽었는지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 싶다.

이 책을 읽게 된 시기는 약 한달 전이다.
공휴일이었던가, 평일이었던가. 그날 회사는 텅 비어 있었다.

나 혼자 사무실을 오가다가 사내 도서관에서 잠시 라면을 먹을 때였다.
원래 나는 라면을 먹을때면 도서관에서 먹지 않고 테라스에서 먹는 쪽을 택한다.
그런데 그 날 딱 한번 도서관에서 라면을 먹게 되었다.
왜 그랬는지는 모르겠다.

한 손에는 라면을 들고 도서관을 서성이며 이 책, 저 책을 보던 중 이 책을 발견하게 되었다.

“being digital”

이상한 책이었다.
겉표지는 은색하드커버에 제목이 쓰여져 있었는데 이상하게 출판사 이름이나 저자 혹은 옮긴이의 이름은 나타나 있지 않았다.
이상했다.

무심코 책을 집어 몇장 넘겨 보았다.
저자가 MIT 미디어 랩의 소장이란다.
순간 내가 알고 있는 MIT 미디어 랩의 소장의 이름이 생각나서 저자를 자세히 살펴보았다.

“Nicholas Negroponte”

역시였다.
그 사람이었다.

OLPC(One Laptop Per Child : 어린이 한명에 노트북 하나) 운동을 전개하고 여러가지로 나에게 영향을 주었던 그 사람.
그 사람의 책이었다.

책이 굉장히 옛날에 만들어진듯한 느낌이 들어서 출판 연도를 살펴보았다.
1995년.

지금으로부터 16년 전에 만들어진 책.
책의 내용이나 분위기로 보아 그렇게 베스트 셀러 같아 보이진 않았다(외국에서는 베스트 셀러였단다.. 하지만 국내에서는.-_-;;)

도서 대출 신청을 하면서 굉장히 신기한 느낌이 들었었다.
무려 16년 동안의 시간을 거쳐 나에게 이 책이 오기까지 많은 일들이 있었을 것이다.
그 많은 시간과 일들을 겪으면서 비로소 나에게 보이게 된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다른 모든 책들도 다 같은 이유로 나에게 읽혀지고, 이곳 도서관에 꽂혀있겠지만.. 유난히 이 책에대해서만 그런 생각이 들었다.
참 신기했다.

그렇게 이 책을 읽게 되었다.

책의 내용은 좀 어려웠다.
약 16년전에 쓰여진 앞으로의 IT 발전 방향과 미래 전망에 관한 글이었는데 놀랍게도 이 책에서 기술한 내용 대부분이 현재에 사용되고 있는 내용들이었다.
단, 아직 용어 자체가 정리가 안된 시점이어서 그랬을까, 번역상에 약간 오류가 있는 듯 했다.

그 부분만 빼고는 괜찮았다.
내가 전공한 부분과는 다른 분야에서 바라본 IT 의 미래여서 약간은 이해가 어려운 부분도 있긴 했지만 전체적으로는 재미있는 내용이었다.

글을 읽으면서 여기서 설명하고 있는 내용이 아마..지금의 어떤 기술을 이야기 하고 있는 듯 하다.. 라는 상상을 하면서 조금씩 읽었다.
그래서 이 책을 읽는데 한달정도 걸린듯 하다.

이 책을 읽을 때 즈음 현대의 IT 기술에 대한 책을 읽게 되었다.
그 책과 비교를 하며 읽으니 그것또한 재미이기도 했고.

이 책을 통틀어서 가장 감동적이었던 부분. 🙂

To Elaine
who has put up with my being digital for exactly 11111 years.

엘렌느,
꼭 11111년 동안 내가 디지털이 되는 걸 인내해 온 당신에게.

11111 년이면 몇살일까?
-> 답 31살.  🙂

울다가, 울다가, 감동 받다가.

지난 토요일.
선배들과의 기분좋았던 술자리의 마지막에서 듣게된 말 한마디.

그 말한마디로 인해 온종일 우울했던 어제와 오늘.

그동안 잊은 줄 알았는데, 완전히 잊은 줄 알았는데. 아니었다.
얼마전에 읽었던 내 일기장이 이유였을까.

가슴아팠던 5년전 그날이 생각났다.
가슴을 후벼파는 듯한 아픔.

아, 젠장.

봇물이 터지듯 생각이 계속해서 나왔다.
그 때 무슨일이 있었는지..

지난 5년간 한번도 이런적은 없었는데.
이제는 덤덤해 졌고, 무엇보다 정말로 완전히 잊혀진줄 알았는데…

참 가진것 없고, 할줄 아는 것 없는 인생이다 싶은것이..
왜 이렇게 나는 바보 같은 걸까.

남들처럼 적당히 하면서 인생을 즐기는 것도 좋은 법도 한데.
젠장, 나는 그게 싫어.
그런 삶의 방식은 내가 싫어.

술을 마시면 좀 나아질까.
오늘 하루는 그냥 취하고 싶어서 억지로 술약속 만들어 놓고
사람들과 술자리를 만들었다.

그랬던 술자리에서 괜히 터져나온 울음보.
이놈의 주책은 여기서도 주체를 못하겠더라.
그냥 덤덤하게 이야기할 수 있을 줄 알았는데.
웬걸, 자꾸 눈앞에 그날의 기억이 새록새록 펼쳐지는 것이 참을수가 없더라.

좋게 출발했던 술자리는 나로 인해 삽시간에 고요해지고 들리는 건 홀짝홀짝 소주잔 넘기는 소리뿐.
이게 무슨 주책이야, 청승이야, 궁상이야.

나만 빼고 다들 40대.
그 분들 앞에서 무슨 일이 힘들다고 그렇게 얼굴 꿍해서 눈물 참으며 소주잔을 기울였는지.
오늘 하루 마냥 취하고 말겠다는 다짐도 잠시뿐, 어른들 앞에서 주사를 부릴수가 있어야지.
그저 대충 적당히 밥만 먹고 나와버리니 시간은 이제 겨우 9시를 조금 넘겼을까.

이 따뜻한 초여름 서울 밤거리에 나혼자 갈 곳이 그렇게도 없더라.

털레 털레 신발 이끌면서, 그 좋아하던 음악도 안들어.
집으로 돌아오는 길 내내 젠장, 젠장.

나란 놈 왜 이럴까.
한숨만 팍팍.
따지고 보면 아무것도 아닌데.
정말 아무것도 아닌데.

걸으면서도 눈물이 나오더라.
아, 젠장.

그랬는데..

고시원 입구 우체함에 꽂혀있는 편지함속에 내 이름이 적혀있는 봉투를 보았다.

“월드 비전”

얼마전 아동 후원한지 5년이 되었다고 감사 편지를 보냈다고 걸려온 전화가 생각났다.
아마 그 편지 이리라.

하. 하. 하.
돈 없어서 이모양 이꼴을 하면서 생활하는데 후원한다고 매달 돈을 내고 있는 내 모습이 정말 바보같았다.
그것도 5년 동안….

이건 미련한 거야, 멍청한거야.
아니면 둘 다야.

“니 주제를 알라고”
마음속에서 올라오는 욕지기 아닌 욕지기.
자기 비하를 넘어서는 자기 멸시.

이래선 안되겠다 싶은 마음이 들면서도 오늘 하루는 이 기분에 취해서 마냥 울고만 싶더라.

집에오니 이런. 열쇠도 회사에 놓고 왔더라.
오늘하루 제대로 꼬여만 가더라.

겨우 고시원 총무에게 사정하여 문을 열고 들어왔다.

또 하나 웃긴것이 바로 엊그제 고시원비를 조금 늦게 내도 되나고 사정했던 나였는데 오늘은 방문까지 열어달라고 사정을 했다.
멋지다, 멋져.

방안에 들어와서 편지를 뜯고 읽어보니, 감사의 편지는 무슨.
그것과는 다른 내용.
다른 사업장에 대한 후원 요청 편지였다.

그래. 다들 뜯어가는 구나.
가만히 읽어 볼 생각조차 하지 않고 그냥 마음이 상했다.
기존의 후원조차도 취소해버릴까 싶은 마음이 들었다.

그러면서도.. 조용히 그 내용을 읽고 있었다.
어떤 내용일까…하고.

거기서… 말도 안되는 위로를 받았다.

그 책자 속, 빈민층들을 돕는 사진에 내가 있었다.
아 젠장.
웃고 있더라.

괜찮다고 웃고 있더라.

아. 정말 이런식으로 위로받고 싶진 않았는데.
이 글을 쓰는 내내 흐르는 눈물을 주체할 수가 없었다.

정말.. 이런식으로 위로받고 싶진 않았는데..
항상 인생이라는건 이런식으로 내 뒤통수를 치더라.

 

인생 수업 – 엘리자베스 퀴블러 로스, 데이비드 케슬러

책에 마지막에 나와있는 글… 너무나 마음속 깊이 와닿는다..

———————————————————

마지막으로 바다를 본 것이 언제였습니까?
아침의 냄새를 맡아 본 것은 언제였습니까?
아기의 머리를 만져 본 것은?
정말로 음식을 맛보고 즐긴 것은?
맨발로 풀밭을 걸어 본 것은?
파란 하늘을 본 것은 또 언제였습니까?

이것은 다시 얻지 못할지도 모르는 경험들입니다.
우리는 모두 그것을 알고 있습니다.

죽음을 앞둔 사람들이 한 번만 더 별을 보고 싶다고, 바다를 보고 싶다고 말하는 것을 들으면 언제나 정신이 번쩍 듭니다.

많은 사람들이 바다 가까이 살지만 바다를 볼 시간이 없습니다.
우리 모두 별 아래에 살지만, 가끔이라도 하늘을 올려다보나요?
삶을 진정으로 만지고 맛보고 있나요?
평범한 것 속에서 특별한 것을 보고 느끼나요?

아이가 태어날 때마다 신은 세상을 존속시키기로 결정한다는 말이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눈을 뜨는 매일 아침, 당신은 살아갈 수 있는 또 다른 하루를 선물 받은 것입니다.
당신은 언제 마지막으로 그 하루를 열정적으로 살았나요?

이번 생과 같은 생을 또 얻지는 못합니다.
당신은 이 생에서처럼, 이런 방식으로 이런 환경에서, 이런 부모, 아이들, 가족과 또다시 세상을 경험하지는 못합니다.
당신은 결코 다시 이런 친구들을 만나지 못할 것입니다.
다시는 이번 생처럼 경이로움을 지닌 대지를 경험하지 못할 것입니다.

삶의 마지막 순간에 바다와 하늘과 별 또는 사랑하는 사람들을 마지막으로 한 번만 더 볼 수 있게 해달라고 기도하지 마십시오.

지금 그들을 보러 가십시오.

당신은 스토리다 – 서영아

당신은 스토리다.

세상에 사연 없는 인생 없다.
10사람이면 10사람모두 저마다의 인생 이야기를 가지고 있다.
그것이 좋은 것이든, 나쁜 것이든.

한국의 대표적인 감성 크리에이터들이 작가에게 들려준 그들의 스토리를 묶은 책이다.

굴지의 기업가는 없다.
어떻게 하면 자신을 경영하고, 어떻게 하면 세상을 경영할 수 있는지의 이야기가 아니다.

예술가들.
우리의 감성을 흔드는 예술가들의 이야기다.

우리가 흔히 부의 척도로 생각하는 돈이 아닌 다른 부분에 초점을 맞추고 그것에 온몸을 던져 마침내 그것을 이루어 낸 사람들의 이야기…인 줄 알았다.

비슷하긴 했다.

하지만 역경을 이겨내고, 어떤 고생스러운 삶을 살아왔는지에 대한 이야기가 아니었다.
그들의 생각, 그들의 느낌, 그들의 시점에 대한 이야기였다.

참 재미있는 것이… 이 책을 읽으면서 가장 많이 느껴진 단어는 “꿈”이다.

꿈.

당신은 가슴이 시키는 일을 하고 있는가?
당신은 자신과 소통하고 있는가?
…당신이 좋아하는 것은 무엇인가?

이 책에 나오는 사람들은 이런 질문들에 대한 그들만의 생각과 답을 내어놓는다.

하지만 모든 답은 하나로 느껴진다.

당신의 꿈은 무엇인가?

…에 대한 대답.

이 책의 등장인물들…
광고 감독, 사진 작가, 인테리어 디자이너, 드라마 제작자, 감성 브랜드 크리에이터, 패션 디자이너, 음악 프로듀서, 인형 테마파크 기획자, 푸드 아티스트, 뮤지컬 제작자, 그리고 작가.

서로 다른 직업이지만 서로 같은 대답을 내어 놓는다.

나는 내가 좋아하는 일을 열심히 하고 있어요.
그게 바로 제 꿈이니까요.

 

바보 빅터 – 호아킴 데 포사다

쉬운 책이다.

17년 동안 바보로 살았던 멘사 회장의 이야기.

이야기는 간단하다.

어느 한 천재가 주변 사람들의 평가로 인해 자신의 능력을 모르고 있다가 나중에 자신의 진정한 능력을 알게 된다는 이야기…

책 이야기에 대해서는 별로 할 이야기가 없다.

그리고.. 솔직히 책을 읽고 느낀 느낌은.. 뭐랄까 편안했다.

내가 항상 마음속으로 되뇌던 그런 고민들.
그런 고민들에 대한 확실한 대답을 해주진 않지만 적어도 내가 이런 고민을 하는 것이 잘못된 것이 아니라는 확신을 주었다.

안도감. 그것이었다.

 

Be yourself – 너 자신이 되어라.

책의 마디마디에 나오는 문장이며 글을 읽는 나에게 약간의 편안함을 주었던 말이다.

나는 이 말의 뜻을 이렇게 해석하고 싶다.

너 자신이 되는 과정을 두려워 하지 말아라..

항상 도전하며 주변사람들의 시선에 얽메이지 않고 그 과정을 즐길 줄 아는 것.
그것이 참된 나의 길이라고 생각하고 싶다.

———————————————————————————

한국 독자들에게 쓴 글쓴이의 메시지 중 한 구절이 인상 깊었다.

우리는 기억해야 합니다.

삶 속에서 맞닥뜨리게 되는 모든 일은 우리의 의지와 상관없이 일어나지 않는다는 사실과, 그 어떤 일이 있더라도 결코 잃어서는 안 되는 ‘위대한 진실’이 있다는 것을.

———————————————————————————

책의 뒷부분. 이 책의 추천사에 김난도(“아프니까 청춘이다”의 저자)님의 글이 있었다.

끊임없이 자기를 믿고 자신감을 키워가는 인생이 행복하다. 청춘이여, 끝없이 남을 의식하는 열등감을 접고 그대 안에 숨겨진 자신만의 ‘날개’를 펼쳐라. 그 날개가 그대의 꿈에 그대를 데려다 줄 것이다.

날개… 그러고 보니 책의 제목 “바보 빅터” 옆에 조그맣게 쓰인 글귀가 있었다.

“Spread Your Win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