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uperblock could not be read or does not describe a correct ext2

 The superblock could not be read or does not describe a correct ext2

 …. 동아리 FTP 서버에서 리부팅 후  정상적인 접속이 안되서 콘솔을 확인해본결과….위의 메시지를 확인해 볼수 있었다..

 정확히는 다음의 메시지였다.

Checking filesystems
Checking all file systems.
[/sbin/fsck.ext3 (1) — /] fsck.ext3 -a /dev/hdd1
fsck.ext3: No such file or directory while trying to open /dev/hdd1
/dev/hdd1:
The superblock could not be read or does not describe a correct ext2
filesystem. If the device is valid and it really contains an ext2
filesystem (and not swap or ufs or something else), then the superblock
is corrupt, and you might try running e2fsck with an alternate superblock:
e2fsck -b 8193

 무엇이 문제일까…

 다음의 방법으로 해결을 했다.

 컴퓨터의 전원을 내리고 부팅을 했을경우, (shutdown -r 이 아니라, shutdown -h 명령어로 전원을 끈 다음, 다시 부팅) 정상적으로 파일 시스템의 마운팅이 이루어졌다.

 이때, /dev/hdd1 의 UUID 를 알아내어 /etc/fstab 의 파일내용을 볼륨을 적는 부분을 UUID로 바꾸어 주었다.

 그랬더니 정상적으로 다음부터는 정상적으로 부팅이 이루어졌다.

 결국 해결하긴 했지만…아무래도 기분이 찝찝하다.

 만약….루트 파일시스템이 있는 파티션이 마운트가 안된다면?? 생각만해도 끔찍하다…

리눅스에서의 시스템 시관과 바이오스 시간 맞추기…

 다음의 설정대로 하면 된다.

 /etc/adjtime 지우고 rdate 또는 ntpdate로 시간을 새로 받은 다음 바이오스 시간을 시스템 시간으로 바꾸면 된다.

# rdate -s time.kriss.re.kr 혹은 # ntpdate time.kriss.re.kr
# rm -f /etc/adjtime
# rm -f /etc/localtime
# ln -s /usr/share/zoneinfo/Asia/Seoul /etc/localtime
# hwclock -w

—- 데비안의 경우, 다음은 필요하지 않다.

# cat /etc/conf.d/clock
CLOCK=”local”
TIMEZONE=””
CLOCK_SYSTOHC=”yes”
SRM=”no”
ARC=”no”

# reboot

우분투 사용시….발생되는 쉘 스크립트 실행 에러..

 리눅스 배포판을 우분투를 사용할 경우 쉘 스크립트를 작성할 때 한가지 주의 사항이 있다.

 평소와 같이 쉘 스크립트를 작성 후, 실행을 시키면 아마도 다음과 비슷한 메시지를 보게 될 것이다.

Syntax error: “(” unexpected operator

 이는 /bin/sh 실행 파일의 경로 때문에 발생되는 일이다.

 보통의 우분투에서 ls -l /bin/sh 를 실행하면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온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bin/sh 의 심볼릭 링크 경로가 bash 가 아닌것이다. 그래서 위와 같은 에러가 발생되는 것이다.

 참고로 우분투에서는 기본적으로 /bin/sh 가 dash 와 연결되어 있다. 그러므로 에러를 잡기 위해서는 /bin/sh 를 bash 로 바꾸어주던가, 혹은 스크립트 첫 머리의 #!/bin/sh 문장을 #!/bin/bash 로 바꾸면 된다.

 /bin/sh 를 bash 로 연결짓는 명령은 다음과 같다.

 # ln -s /bin/sh bash

아스키 아트와 안시 코드

 아스키 아트

 아스키 문자 셋을 이용한 그래픽 표현, 대화방에서 이용하는 스마일리 (Smiley)에서부터 사진 이미지를 변환한 것까지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다. 터미널을 이용한 PC 통신을 많이 사용하던 때에는 아스키 아트에 안시 코드로 색상을 입힌 텍스트 안시로 표현한 다양한 이미지를 많이 사용했다.

 안시 코드

 ANSI(American National Standards Insitute) 미국 표준 협회이다. 이곳에서 정한 시스템의 입출력 규정을 안시 코드라고 한다.